훈련목표
|
- 전기공사용 기자재와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주택, 빌딩, 공장 등에 전기시설물 및 전기기계/기구 등을 시공/유지/보수 운용 및 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.
-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전기기기를 제작, 제조, 조작, 운전 및 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익히고 ‘전기기능사’ 자격을 취득 할 수 있다.
- 전기 설비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, 정지기, 제어장치 또는 빌딩, 공장,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, 케이블,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, 보수, 검사, 시험 및 관리를 할 수 있다.
- '산업안전보건법' 및 ‘중대재해 감축 로드맵'에 따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한다.
|
훈련대상 요건 훈련과정의 강점 |
○ 직업능력개발훈련 우수훈련기관
- 2021년 훈련기관인증평가 5년인증(우수훈련기관)
- 2018년 훈련기관인증평가 3년인증(우수훈련기관)
- 2015년 우수훈련기관 선정
○ 최상의 훈련과정
- 2014년부터 ‘내선공사’ 직종의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, 실업자계좌제 및 재직자 훈련을 10년 이상 실시하고 훈련생을 배출하여 차별화된 훈련 운영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다.
○ 최종 훈련목표 설정 및 달성을 위한 취업지원 시스템 구축
- 성남권역에서 꾸준히 우수한 훈련생을 취업 연계함으로써 성남권역 내 기업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어 취업률이 높다.
- 지속적으로 취업요구 기업과 훈련생을 대상으로 1:1 매칭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.
○ HRD/HRM을 통한 훈련교사 능력향상 및 지속적인 훈련방법 모색
- 전교원이 직업훈련 경력이 많은 훈련교사로 구성되어 있으며,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훈련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여 현장 실무에 기반을 둔 알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업계동향을 파악하여 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, 훈련생들에게 동기부여 및 취업교육을 실시하는 담임책임제를 실시한다.
- 연간계획을 편성하여 능력개발을 하고 있으며, 최근 변화하는 NCS 훈련에도 적응하여 훈련방법을 적용하는 등 평가부분에 대하여 노력을 강화중이다.
- 훈련이 종료된 후 자격특강, 취업 등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.
○ 기타 환경조건의 최적화
- 전기훈련에 필요한 시설/장비기준을 상회하며 최신 장비와 풍부한 재료 공급으로 자격 취득 및 실무 훈련이 가능하며, 접근이 용이한 지하철역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.
|